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미쳐야 미친다 - 정민
    역사 2008. 3. 5. 14:27
    반응형

    미쳐야 미친다 정민

     

     

    다산선생에 관한 책을 찾던 중이었습니다.

    <격물치지 님의 블로그> <쉐아르 님의 블로그> 글에 소개된 미쳐야 미친다 이 책을 그 덕에 만났습니다.

     

    위에 두 분의 블로그를 보시면, 이 책에 대한 대강의 궁금증은 풀리실 것입니다.

    저는 배움에 관한 주제로 이 책을 인용해 보려 합니다.

     

    책에 등장하는 엽기적인 노력가 김득신 과 유배지 강진에 온 정약용 선생에게 가르침 받기를 원하며 자신의 꽉막힘과 답답함을 죄스러워 하는 황상 같은 선조들을 거울 삼고자 합니다.
    그래서, 선조의 삶과 글들을 정민 선생처럼 나태와 안일을 쫓는 '죽비소리'로 삼고자 아래의 글을 인용합니다.

     

    네모 표 안의 글이 인용 부분 입니다.

     

     

    김득신, 그의 노둔함이 이와 같았다.

     

    김득신은 지혜가 부족하고 재주가 몹시 노둔했는데도 외워 읽기를 몹시 부지런히 했다.

    독서록이 있었는데 천 번을 읽지 않은 것은 기록에 올리지도 않았다. 사마천의 <사기> 중에 <백이전> 같은 것은 113천 번을 읽기에 이르렀다. 여기서 억은 10만 이라 하네요.


    뒤에 한 번은 말을 타고 어떤 사람 집을 지나가는데, 책 읽는 소리가 들려왔다. 그는 말을 멈추고 한참 동안 듣더니 이렇게 말했다.


    그 글이 아주 익숙한데, 무슨 글인지 생각이 안 나는구나.


    말고삐를 끌던 하인이 올려다보며 말했다.

     
    부학자(夫學者) 재적극박(載籍極博) 어쩌고저쩌고 한 것은 나으리가 평생 맨날 읽으신 것이니 쇤네도 알겠습니다요. 나으리가 모르신단 말씀이십니까?


    김득신은 그제서야 그 글이 <백이전>임을 깨달았다. 그 노둔함이 이와 같았다. 하지만 만년에는 능히 시로 세상에 이름이 났다.

     

     이 이야기는 EBS <지식채널 e>  에 소개된 적이 있었습니다.
     
    제목은 <어느 독서광의 일기> 입니다
    .
      Idreamlist 님의 블로그를
    가시면 볼 수 있습니다.

    천재와 둔재

     

    이 중 황덕길(1750~1827) 이 쓴 <김득신의 독수기 뒤에 쓰다> 란 글의 한 대목을 읽어 보자.

     

     

    일찍이 선배들을 살펴보니 김일손은 한유의 문장을 1천 번, 윤결은 <맹자> 1천 번 읽었다. 노수신은 <논어>와 두시를 2천 번 읽었고, 최립은 <한서> 5천 번 읽었는데, 그 중에서 <항적전>은 두 배를 읽었다. 차운로는 <주역> 5천 번 읽었고, 유몽인은 <장자>유종원의 문장을 1천 번 읽었다. 정두경 <사기>를 수천 번 읽었고, 권유는 <강목> 전체를 1천 번 읽었다.

     

    지금까지 동방에서 대가의 문장을 논할 때면 반드시 이분들을 지목하는데, 그 시를 읽고 글을 읽어보면 그 글이 어디서 힘을 얻었는지 알 수 있다.

     

    근세에 재주가 뛰어난 자로 칭송을 받는 자로, 중추 곽희태는 다섯 살에 <이소경>을 다섯 번 읽고 다 외웠다. 그 아들 곽지흠은 일곱 살에 <이소경>을 일곱 번 읽고 외웠는데, 한 글자도 틀리지 않았다. 권유의 아들 권호와 종제 권민이 어릴 적에 이들에게 <우공>을 가르쳐 총명한지 시험하였다. 문장의 뜻을 다 가르친 뒤 책을 덮고 외우게 하니, 권민은 바로 외웠고, 권호는 한 번 읽은 뒤에 외웠다. 그들의 총명한 재주가 남들보다 뛰어나니 비록 옛날에 암기력이 뛰어난 장수양이라 하더라도 어찌 이들보다 낫겠는가?

     

    하지만 그들의 문장이 단지 한때 재능이 있다는 이름만 얻었을 뿐 후세에 전하는 것이 없다.

     

    마음을 지킨 사람

    이서우가 쓴 <백곡집서>의 한 대목을 인용하면서 글을 맺기로 한다.

     
     

    대저 사람은 스스로를 가벼이 여기는 데서 뜻이 꺾이고, 이리저리 왔다갔다하느라 학업을 성취하지 못하며, 마구잡이로 얻으려는 데서 이름이 땅에 떨어지고 만다.

     

    공은 젊어서 노둔하다 하여 스스로 포기하지 않고 독서에 힘을 쏟았으니 그 뜻을 세운 자라 할 수 있다. 한 권의 책을 읽기를 억 번 만 번에 이르고도 그만두지 않았으니, 마음을 지킨 사람이라 할 수 있다. 작은 것을 포개고 쌓아 부족함을 안 뒤에 이를 얻었으니 이룬 사람이라 할 수 있다.

     

    ! 어려서 깨달아 기억을 잘한 사람은 세상에 적지 않다.

    날마다 천 마디 말을 외워 입만 열면 사람을 놀래키고, 훌륭한 말을 민첩하게 쏟아내니, 재주가 몹시 아름답다 하겠다. 하지만 스스로를 저버려 게으름을 부리다가 어른이 되어서는 그만두어버리고, 늙어서도 세상에 들림이 없으니, 공과 견주어본다면 어떠하겠는가?


    에디슨에게는 어머니, 헬렌켈러에게는 설리반이 있었듯,
    김득신 뒤에는 믿고 묵묵히 기다려주는, 아버지가 있었나 봅니다.
    요즘 같아선, 한글을 10살에 떼는 아이를 믿고 기다려 주는 것과 비교할 수 있을까요?
    '
    넌 머리가 좋아!' 라는 칭찬이 대개의 경우 아이를 못쓰게 만들어 버리지 않을까 싶습니다.
    아직 아이가 없어서 장담할 수는 없습니다. ^^;

    제가 세 가지 병통이 있습니다.

     

    내가 황상에게 문사(文史) 공부할 것을 권했다.

    그는 쭈뼛쭈뼛하더니 부끄러운 빛으로 사양하며 이렇게 말했다.

     

    선생님! 제가 세 가지 병통이 있습니다.

    첫째는 너무 둔하고, 둘째는 앞뒤가 꼭 막혔으며, 셋째는 답답한 것입니다.

     

    내가 말했다.

    배우는 사람에게 큰 병통이 세 가지가 있다.

    네게는 그것이 없구나.

    첫째, 외우는 데 민첩한 사람은 소홀한 것이 문제다. 둘째로 글 짓는 것이 날래면 글이 들떠 날리는 게 병통이지. 셋째 깨달음이 재빠르면 거친 것이 폐단이다. 대저 둔한데도 계속 천착하는 사람은 구멍이 넓게 되고, 막혔다가 뚫리면 그 흐름이 성대해진단다. 답답한데도 꾸준히 연마하는 사람은 그 빛이 반짝반짝 하게 된다. 천착은 어떻게 해야 할까? 부지런히 해야 한다. 뚫는 것은 어찌하나? 부지런히 해야 한다. 연마하는 것은 어떻게 해야 할까? 부지런히 해야 한다. 네가 어떤 자세로 부지런히 해야 할까? 마음을 확고하게 다잡아야 한다.

    당시 동천여사(東泉旅舍)에 머물고 있었다.


    이렇게 멋진 스승과 제자를 많이 볼 수 있는 대한민국 이었으면 좋겠습니다.
    배움도 '빨리 빨리' , 박사학위도 '빨리 빨리' 를 최고의 덕목으로 삼는 일이 좀 덜해졌으면 하는 소망도 있습니다
    .
    다른 것에 관심이 있어, '틀에 박힌 교육'이란 것을 익히는 일이 좀 늦은 아이들이 그 관심을 재능으로 키워갔으면 합니다. 열등감을 몸에 배이게 하는 대신에 말이죠
    .

    P.S 
    잊을 뻔 했습니다
    .
          
    쉐아르님 처럼 저도 정민 교수님께 감사드립니다
    .
          
    오주석 선생님 책을 많이 좋아했는데, 정민 교수님 책도 포함시키렵니다
    .
           
    앞으로도, 저 같은 사람들도 쉽게 고전과 역사를 알 수 있도록 좋은 책 부탁드

          
    립니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