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중혁 작가 초청 강연강연을 찾아서 2009. 9. 24. 11:21반응형
김중혁 작가 강연
일시 : 2009년 9월 23일 오전 10시
장소 : 충북 중앙도서관 4층 강당
주제 : 문학과 상상력과 박물관
아침 일찍 참석하였습니다. 잠겨있던 강당 문이 열리고 들여 있는 의자를 처음 빼냈으니 첫 번째 참석자 의 영예를 얻었음이 분명합니다. 시간이 지나자 사람들이 늘어나기 시작합니다. 주로 아주머니 독자 분들이 많네요. 작가의 독자층을 반영한 것인지, 강연시간대의 영향인지는 판단하기 어렵습니다.<강연 시작 전의 모습>
드디어 시작하는데, 낯선 분이 등장합니다.
백남권 중앙도서관장님의 말씀이 있네요.
학창시절 뙤약볕아래 교장선생님 훈화 듣는 기분이라 피식하고 웃음이 났습니다.
그래도 지방에서 흔치 않은 좋은 강연을 들을 수 있게 된 것에 감사했고요,
교장선생님 훈화의 가장 큰 미덕인 짧은 말씀 감사했습니다.
정말로 김중혁 작가의 강연이 시작하나 봅니다.
이것저것 나열식의 말씀을 하셔서 정리하기가 좀 어렵습니다.
아래에 그 내용을 기록해 봅니다.
번호 목차의 제목을 비롯해 정리를 위해 나름의 편집이 있음을 알려드려요.
1. 쓸데없는 생각을 하는 사람
작가는 어려서부터 '쓸데없는 생각 좀 하지 마라.'는 말을 많이 들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작가가 그 '쓸데없는 생각'을 소중하게 생각하고, 그것에 자부심을 갖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왜냐하면 자신이 얼마나 쓸데없는 생각을 하는지에 대해 말하는 것에
강연 시간의 절반 가까이를 할애했으니까요.아래와 같은 이런 생각들을 주욱 나열했지요.
* 택시위에 전자 광고판으로 소통을 하면 어떨까?
* 거리의 CCTV로 증명사진 서비스를 하면 어떨까?
* 전국의 도로에 보일러를 설치하면 노숙자도 운전자도 좋지 않을까?
* 난 연말에 올해의 인물을 선정하여 상을 준다.
* 핸드폰에 1천명의 전화번호를 기록하는 메모리가 굳이 필요할까?
* 제목을 뽑아주는 기계가 있었으면 좋겠다.
* 노약자가 타면 나이와 건강 컨디션을 고려해서 적합한 사람의 좌석이 사람을 일어나
게 하는 '다 일어나' 버스카드.
* 사람 봐가며 표현이 바뀌는 '잔디밭에 들어가지 마시오 표지판'
* 인간성 계측 저울?
* '마감'이라는 말을 걸러서 들려주는 '내 귀에 필터'
어쩌면 독자들이 갖고 있을 '쓸데없는 생각'에 대한 고정관념을 강하게 느끼고 그것을
깨주고 싶어서 그리 강조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아니면 제가 아직 읽지 못한 <무용지물 박물관> 을 말씀하신건지도요.
2. 김중혁 작가의 글쓰기 - 뒷수습의 상상력
작가는 소설을 쓸 때 첫 문장을 아무렇게나 써놓는다고 합니다.
그 후에 작가가 저지른 일의 뒷수습을 시작한다고 하네요. 그렇게 계속 뒷수습을 하다보면
어느 순간 소설 한 편이 완성돼 있다고 하네요. 교정 작업을 위한 검토 외에 작가는 퇴고를 하지 않는다고도 했습니다.
첫 문장을 아무렇게나 썼다고는 하지만 폴 오스터의 소설 중에서 '내가 물위를 걸었던 것은 열세 살 때였다.'라는 시작이 멋졌다고 얘기하는 걸 봐서는 첫 문장에 공을 들이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3. 작가의 글에 대한 자평
작가는 스스로 SF 작가라고 생각한 다네요.
정통 SF는 아니고요, 작가의 표현은 이렇습니다.
'땅에서 5Cm 공중 부양한 SF 작가'
4. 6년의 시간
제가 제대로 들었다면 등단하는데 6년의 시간이 걸렸답니다.
등단하기까지의 노력과 경험담, 실패담 등을 자세히 듣고 싶어서 질문까지 드렸으나, 제가 질문의 요지를 명확히 말씀드리지 못해서 듣고 싶었던 얘기는 아쉽게 듣지 못했습니다.<강연 후 사인회>
5. 유인물 발췌
A4용지 여섯 쪽에 분량의 유인물을 입구에서 나눠주네요.
제목은 '문학과 상상력과 박물관' 이고, 김중혁 작가가 쓴 글입니다.
강연 시작 전이라 진행자에게 글의 출처를 물었는데, 작가가 보내준 글이란 답변을 받았어요.
앞부분은 1번의 강연내용과 겹치는 부분이 많고요 뒷부분에 '문학과 상상력' 소제목의 부분이 좋아서 인용해 봅니다.[ "상상력을 키우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라고 대학생들이 물어오면 나는 이제
이렇게 대답한다. "생각을 버리지 마세요." 말 그대로, 어떤 생각도 버리지 말라는 것이다.
내가 어렸을 때 가장 많이 들었던 말은 "쓸 데 없는 생각 좀 하지 마라."는 것이었다.
쓸 데 없는 생각을 좀 많이 했던 나는 쓸 데 없는 생각을 했다는 자책감에 사로잡혀 앞으론 쓸 데 없는 생각을 하지 말아야겠다는 쓸 데 없는 생각까지 하게 됐다. 그런 쓸 데 없는 생각을 자꾸 하다 보니 쓸 데 있는 생각까지 쓸 데 없다고 생각하게 됐고, 나중에는 도무지 쓸 데 있는 생각이 뭔지 알 수 없게 됐다. 생각에 관해서는 누구의 말도 믿지 말고, 자신의 판단만 믿어야 한다.
쓸 데 있는 것인지 쓸 데 없는 것인지 판단하지 말고, 생각을 계속 붙들고 있다 보면 언젠가 쓸모없어 보이던 생각들이 나도 모르는 조각이 되어 커다란 밑그림의 한 부분이 되어 있을 것이다. 상상은 한 장의 그림이다. 우리의 머릿속에 떠오른 어떤 이미지이며 한 장의 스틸 컷이다. 문제는 이 그림을 어떻게 움직이는 영상으로 만들어낼 것인가이다. 여러 장의 그림을 얼마나 잘 이어 붙이는가, 얼마나 그럴 듯하게 편집하는가. 그것이 바로 상상력이다.
"상상력을 키우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라는 질문의 두 번째 대답은 상상 속으로 뛰어들라는 것이다.그림을 이어붙이기 위해서는 그 속으로 뛰어들어 상상 속의 논리를 찾아내야 한다.
우리들의 멋진 상상에 재를 뿌리는 목소리가 들리는듯하다. 뭔가 이야기를 꺼냈을 때, 새로운 아이디어를 얘기했을 때 누군가 이렇게 얘기한다. "그건 너무 비현실적이잖아." 천 번 만 번 백만 번도 더 들었던 이야기다. 나는 아직까지도 '비현실'이라는 것이 뭔지 - 그리고 비현실이 꼭 나쁜 것인지도 - 잘 모르겠다. 상상은 비현실적일수록 좋은 게 아닐까. 상상력이란, 비현실과 비현실을 잇는 일이라는 생각이 든다. 비현실과 비현실을 이어서 또 다른 비현실을 만들어내는 일, 혹은 그럴 수 없을 것 같은 일들과 그럴 것 같은 이야기들을 한데 뒤섞어서 그럴 듯하게 만드는 것이 바로 상상력이라는 생각이 든다. ]
좋은 말씀 들려주신 김중혁 작가에게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자리를 마련해주신 중앙도서관장님과 진행을 위해 노력해주신 직원분들에게도 감사드려요. 물론 웃음과 박수 그리고 재미있는 질문으로 자리를 풍성하게 해주신 참석자분들에게도 감사드립니다.'강연을 찾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시민 강연회 - 대한민국 진보의 미래 (0) 2010.10.22 천년의 금서 - 김진명 작가 강연회 (0) 2010.10.08 윤구병 선생 강연 - 디지털 시대 맛있는 철학 (8) 2007.11.01 [강연] 현대인의 스피치 기법 - 민병욱 (0) 2007.10.31 이정주 대표이사-나의 인생과 취업 (0) 2007.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