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리대왕(Lord of the Flies) - 윌리엄 골딩
전쟁이 만연할 때에, 피난가던 비행기에 타고 있던 소년들이 무인도에 고립되면서 이야기는 시작합니다. 뿔뿔이 흩어져있는 소년들은 생존을 위해, 기대려고 다시 모였습니다. 그리고 몸에 밴 규율을 정하며 어른의 사회를 흉내 냅니다. 리더의 권부인 '소라'의 권위를 인정하고, 선출된 대장 '랠프'를 중심으로 구조를 위한 봉화를 준비하고, 오두막을 짓고, 화장실을
지정하는 등의 일을 하면서 안정을 찾은 듯 보입니다.
그러던 중에 꼬마들의 공상 속에서부터 '짐승'에 대한 공포가 떠돕니다.
'랠프'는 꿈일 뿐이라고 일축하지만 '공포'는 소년들의 주위를 맴 돕니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면서 다툼이 발생합니다. 서로 기대고 모이는 것이 본성이라면, 다툼 역시 본능이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제법 어른 흉내를 내며 안정적인 생활을 지도해왔던 '랠프'와 대장자리를 뺏으려는 '잭'과의 분열이 시작된 것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소라'의 권위가 그렇게 오래 지속된 것이 외려 신기할 지경입니다. 잭은 소라 대신에 사냥의 오락과 고기의 맛으로 소년들을 모아 대장의 자리에 오르기를 바랍니다.
'랠프'와 대립하면서 대장의 힘을 바랐던 '잭'은 사냥을 통해 그 힘에 근접했습니다.
그리고 얼굴에 색칠을 통해 '가면'을 쓴 것처럼 다른 사람이 되기 시작합니다. 랠프의 의장 같은 대장이 아닌 살벌한 전쟁 통의 군인 같은 대장으로 변합니다. 이런 변화 속에서 '괴물'의 실체를 알리려던 '사이먼'과 늘 이성적으로 말하던 '돼지'는 그들의 폭력으로 죽음에 이릅니다. 혼자가 된 '랠프'와 그를 쫓는 소년의 무리들간의 추격전의 긴박함은 '어른 해군'의 등장으로 구원의 빛을 찾으며 이야기는 끝이 납니다.
저는 이 책을 읽고 소년들의 잔인한 폭력에 모든 감상을 뺏겼습니다.
그리고 막연하게나마 '생존의 욕구(본능)'이 규율(도덕, 종교, 제도)에 우선한다는 사실이 마음 가까이로 다가오더라고요. 저의 불완전한 이해와 감상으로 끝낼 수가 없기에 해설을 인용함으로 글을 마치렵니다.
<해설>을 보니 앙케이트에서 골딩은 <파리대왕>의 주제를 아래처럼 말했다네요
마지막 장면에서 어른의 세계가 의젓하고 능력 있는 것으로 나타나지만, 실제로는 그것은 섬에서의 어린이들의 상징적 생활과 똑같은 악으로 얽혀 있다. 장교는 사람 사냥을 멈추게 한 후 어린이들을 순양함에 태워 섬에서 데려갈 준비를 한다. 그러나 그 순양함은 이내 똑같이 무자비한 방법으로 그 적을 사냥질할 것이다. 어른과 어른의 순양함은 누가 구조해 줄 것인가?> (p. 320)
그리고 제가 '생존의 욕구'라고 막연하게 느낀 것을 '엡스타인'은 '이드(Id)라고 말하고 있네요.
이 근원적인 숨은 사나움이 나타나는 것이 이 작품의 주제이다. (p. 321)
'문학, 소설,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슬럼독 밀리어네어(Q&A) - 비카스 스와루프 (2) | 2009.10.05 |
---|---|
1984 - 조지 오웰 (0) | 2009.09.28 |
동물농장 - 조지 오웰 (2) | 2009.09.25 |
악기들의 도서관 - 김중혁 (2) | 2009.09.24 |
못난 놈들은 서로 얼굴만 봐도 흥겹다 - 신경림 에세이 (4) | 2009.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