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파리대왕(Lord of the Flies) - 윌리엄 골딩
    문학, 소설, 등 2009. 9. 25. 09:10
    반응형


    파리대왕(Lord of the Flies) - 윌리엄 골딩


    전쟁이 만연할 때에, 피난가던 비행기에 타고 있던 소년들이 무인도에 고립되면서 이야기는 시작합니다. 뿔뿔이 흩어져있는 소년들은 생존을 위해, 기대려고 다시 모였습니다. 그리고 몸에 밴 규율을 정하며 어른의 사회를 흉내 냅니다. 리더의 권부인 '소라'의 권위를 인정하고, 선출된 대장 '랠프'를 중심으로 구조를 위한 봉화를 준비하고, 오두막을 짓고, 화장실을
    지정하는 등의 일을 하면서 안정을 찾은 듯 보입니다.

    그러던 중에 꼬마들의 공상 속에서부터 '짐승'에 대한 공포가 떠돕니다.
    '랠프'는 꿈일 뿐이라고 일축하지만 '공포'는 소년들의 주위를 맴 돕니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면서 다툼이 발생합니다. 서로 기대고 모이는 것이 본성이라면, 다툼 역시 본능이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제법 어른 흉내를 내며 안정적인 생활을 지도해왔던 '랠프'와 대장자리를 뺏으려는 '잭'과의 분열이 시작된 것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소라'의 권위가 그렇게 오래 지속된 것이 외려 신기할 지경입니다. 잭은 소라 대신에 사냥의 오락과 고기의 맛으로 소년들을 모아 대장의 자리에 오르기를 바랍니다.

    '랠프'와 대립하면서 대장의 힘을 바랐던 '잭'은 사냥을 통해 그 힘에 근접했습니다.
    그리고 얼굴에 색칠을 통해 '가면'을 쓴 것처럼 다른 사람이 되기 시작합니다. 랠프의 의장 같은 대장이 아닌 살벌한 전쟁 통의 군인 같은 대장으로 변합니다. 이런 변화  속에서 '괴물'의 실체를 알리려던 '사이먼'과 늘 이성적으로 말하던 '돼지'는 그들의 폭력으로 죽음에 이릅니다. 혼자가 된 '랠프'와 그를 쫓는 소년의 무리들간의 추격전의 긴박함은 '어른 해군'의 등장으로 구원의 빛을 찾으며 이야기는 끝이 납니다.

    저는 이 책을 읽고 소년들의 잔인한 폭력에 모든 감상을 뺏겼습니다.
    그리고 막연하게나마 '생존의 욕구(본능)'이 규율(도덕, 종교, 제도)에 우선한다는 사실이 마음 가까이로 다가오더라고요. 저의 불완전한 이해와 감상으로 끝낼 수가 없기에 해설을 인용함으로 글을 마치렵니다.

    <해설>을 보니 앙케이트에서 골딩은 <파리대왕>의 주제를 아래처럼 말했다네요


    <인간 본성의 결함에서 사회의 결함의 근원을 찾아내려는 것이 이 작품의 주제다. 사회의 형태는 개인의 윤리적 성격에 따라 좌우되는 것이지 외관상 아무리 논리적이고 훌륭하다 하더라도 정치체제에 따라 결정되지는 않는다는 것이 이 작품의 모랄이다. 마지막의 구조되는 장면을 제외하고선 전편이 상징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

     마지막 장면에서 어른의  세계가 의젓하고 능력 있는 것으로 나타나지만, 실제로는 그것은 섬에서의 어린이들의 상징적 생활과 똑같은 악으로 얽혀 있다. 장교는 사람 사냥을 멈추게 한 후 어린이들을 순양함에 태워 섬에서 데려갈 준비를 한다.  그러나 그 순양함은 이내 똑같이 무자비한 방법으로 그 적을 사냥질할 것이다. 어른과 어른의 순양함은 누가 구조해 줄 것인가?> (p. 320)



    그리고 제가 '생존의 욕구'라고 막연하게 느낀 것을 '엡스타인'은 '이드(Id)라고 말하고 있네요.


    [ 골딩의 베엘제버브는 무질서하고 도덕과 아무런 관련이 없으며 사납게 휘몰아치는 <이드(Id)>에 해당하는 시쳇말이다. 이 이드의 유일한 기능은 기숙하고 있는 주인의 생명을 보증해 주는 것인데, 이 기능을 <이드>는 무서울 만큼 일편단심으로 집요하게 수행한다. 이 힘을 우리는 여러 가지로 부를 수가 있겠지만 신학자가 그렸건 정신분석학자가 그렸건 현대인이 그려낸 인간의 초상화는 이 힘이랄까 심령구조를 영락없이 <자연인>의 근본 원리로 포함시켜 놓고 있다. 문명의 교리, 도덕률, 사회적 관습, 자아(Ego), 그리고 지성 자체도 이 작렬하고 제어할 수 없는 힘, 즉 <인간성의 사나움과 수렁>을 가리고 있는 겉치레에 지나지 않는다.

    <중략>

    이 근원적인 숨은 사나움이 나타나는 것이 이 작품의 주제이다. (p. 321)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