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우아하게 가난해지는 방법 - 상실의 시대
    문학, 소설, 등 2008. 9. 2. 10:00
    반응형

    우아하게 가난해지는 방법 - 알렉산더 폰 쇤부르크

    1. 상실의 시대

    88만원 세대
    2080의 시대
    신자유주의
    고용 없는 성장

    이제는 너무도 익숙해진 비극적인 말들
    초등학교부터 시작한 줄 세우기는 사회에 나와서도 어김없이 적용되어서,
    자신이 밑바닥에 속하지 않기를 간절히 바라며 위를 보며 살아갑니다.
    조금이라도 삐끗하면 밑에서 끔찍한 가난이 입을 벌리고 기다립니다.

    이렇게
    누구나 성공할 수 있는 '성공의 시대' 이면에는 더 많은 실패가 감추어져 있습니다.
    <실패의 향연>의 지은이가 말하는 것처럼, 실패에 익숙해지면서 실패를 제대로 바라볼 줄 아는 자세를 갖는 것이 성공을 다룬 책을 읽는 것보다 중요할지도 모릅니다.

    아래에는 토크빌의 글을 저자가 인용한 부분 입니다.
    당시의 유럽에 비해 자유롭고 평등한 나라 미국,
    그 '아메리칸 드림'의 나라에서 사람들이 왜 행복하지 못할까? 하는 의문에 대한 토크빌의 해석입니다. 저는 <실패의 향연>의 주제와 같은 의미로 이해했습니다.

    연예인의 화려한 생활을 동경해 자식이 그 길로 가겠다고 하면,
    부모님들은 그 이면의 어려움을 짐작해서 말리는 것으로 비유가 될까요?

    삶을 비관하자는 것이 아니라, 행복해지기 위해서 또 성공하기 위해서, 과장된 부분과 실패의 함정들을 제대로 살피자는 의미일 것입니다.


    [ 토크빌은 1830년대에 '무한한 가능성의 나라' 미국을 여행한 경험을 토대로 <미국의 민주주의>(1835~1840)를 집필했다.
    이 책에서 그는 민주주의적인 평등한 사회 체제의 허점을 분석하고, 특히 과거 어느 때보다 오늘날 더 절실해 보이는 문제를 진지하게 제기했다.

    "출생과 소유의 모든 특권이 폐지되고 누구나 모든 직업에 종사할 수 있게 되면, ..... 사람들은 마음 놓고 무한히 야심을 펼칠 수 있는 듯 보인다. 그리고 자신들이 위대한 것을 이루라는 소명을 타고났다고 즐겨 상상한다. 그러나 그것은 날마다 경험을 통해 수정되는 잘못된 생각이다. ..... 불평등이 일반적으로 사회를 지배하는 법칙인 경우에, 극심한 불평등도 눈에 띄지 않는다. 그러나 대체로 모든 것이 평등한 경우에는, 아주 미미한 차이도 마음을 상하게 한다. ..... 이것은 민주주의의 주민들이 풍요 한가운데서 기이하게도 우울증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이유이다. ..... 나는 부자들이 누리는 것을 희망과 부러움의 눈빛으로 바라보지 않는 가난한 시민을 미국에서 단 한 명도 만나 보지 못했다."

    토크빌은 보수주의자가 아니라 위대한 자유주의자였다. 그러므로 봉건적인 불평등 시대로 돌아가야 한다고 말할 생각은 전혀 없었다.
    그런데도 토크빌은 평등주의 시대에 인간을 괴롭히는 문제를 정확하게 인식했다. 성공의 사다리를 타고 맨 꼭대기까지 이를 수 있다는 믿음이 은연중에 계속 우리에게 불어넣어진다.

    "이 무한한 가능성에 대한 믿음 덕분에 특히 처음에 젊은 사람들은 피상적인 만족감을 느끼고, 뛰어난 재능을 타고난 사람들과 행운아들은 목표를 성취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대부분의 사람들은 차츰 시간이 흐르면서 절망한다. 그들의 영혼은 비통함에 숨이 막힌다." ]
    (p. 188)



    2. 상실에 익숙해지기

    필요가 수요를 낳고
    필요가 발명을 낳는다는 것이 상식입니다.

    그리고 마케팅이 수요를 낳고,
    상품이 수요를 낳는다는 것 또한 사실입니다.

    이 책의 지은이는 풍요의 시대에 사는 우리가 현재 소비하는 것들 중 많은 부분이 '없어도 그만'일 수도 있노라고 말 해줍니다.

    '레스토랑에서의 외식', '고급 승용차', '휴대폰', '예술작품', '넘쳐나는 정보' 들 중에서 진정 내 삶에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생각해 볼 것을 권합니다.
    혹시나 유행처럼 소비하지는 않는지, 소외되지 않기 위한 소비를 하는 것은 아닌지 말입니다.

    3. 다시 생각나는 권정생 선생

    지은이는 '자신의 중심'을 잡고 '유행하는 소비'나 '소외되지 않기 위한 소비'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볼 것을 권할 뿐, 무소유의 삶을 주장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의 냉소적인 말투 때문에 그런 오해를 하실 수도 있습니다.

    아마 그에게 권정생 선생 같은 삶을 살라고 하면, 이 책을 대폭 수정할지도 모르겠습니다.
    존경하고, 동경하지만, 선생의 삶을 따라가기는 버겁습니다.

    뺨을 맞으면 다른 쪽 뺨을 돌려대라거나,
    겉옷을 달라하면 속옷까지 주라는 말씀은 외면한 채,
    스스로에게 유리한 하나님만 찾아서 믿을 뿐입니다.
    그나마 부끄러움을 안다면 감사할 뿐입니다.

    이 책을 읽으면서 권정생 선생의 <우리들의 하느님>을 다시 읽고 싶어졌습니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