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젊은 날의 초상 - 이문열
    문학, 소설, 등 2009. 10. 16. 09:30
    반응형



    젊은 날의 초상 - 이문열

    이 책은 세 개의 목차를 안고 있습니다.
    고교시절 즈음에 해당되는 어린 날의 방황과 외로움을 다룬 <하구河口> 대학시절의  방황과 추억담들을 다룬 <우리 기쁜 젊은 날> 마지막으로 외로움과 허무의 정체를 알아보고자 떠난 여행을 다룬 <그해 겨울>입니다.

    1. 하구

    고교 중퇴로 더 일그러진 자신을 보면서 느끼는 초조함과 비애의 느낌으로 책은 시작해요.
     

    [ 나는 그 편지에서 우선 목적 없는 내 떠돌이 생활의 쓰라림과 서글픔을 은근히 과장하고, 속절없이 늘어만 가는 나이에 대한 초조와 불안을 숨김없이 털어놓았다. 열심히 살아가고 있다는 내 믿음과는 달리 정말로 그때 나는 아무것도 아니었다. (p. 10) ]



    그리고 형에게로 돌아가 검정고시와 대학진학이라는 목표를 정해놓은 후의 삶도
    외로움과 방황을 달래주기는 힘들었나 봅니다.


    [ 추억하기조차 가슴이 서늘한 강진의 풍경 중의 하나는 그런 불면의 밤 내가 늦도록 배회하던 갯가의 둑길이다. 으스름한 달빛과 안개 자욱한 포구, 끝없이 출렁이는 갈대의 바다와 그 위를 스쳐가는 바람소리, 이름 모를 새들의 구성진 울음소리......나는 그러한 것들 사이를 마치 몽유병자처럼 늦도록 거닐었다. 그리고 그때 나를 지배하는 것은 어두운 방안에서의 번민과 고뇌 대신 울고 싶도록 철저한 외로움이었다. (p. 23) ]


    덜 익은 첫사랑 이야기와 이념대결의 연좌제 같은 얘기들이 곁가지를 치고 있기는 하지만 주된 내용은 외로움, 허무, 갈구, 방황 이라고 생각합니다. 갖고 있어야할 무언가를 잃어버린 사람처럼 불안한 맘으로 찾기는 하는데, 무얼 잃은 지도 모르는 난감한 상황입니다. 이 불안과 결핍은 대학에 가서는 어찌될까요?

    2. 우리 기쁜 젊은 날

    다행히 '하가'와 '김형'이라는 맘 맞는 친구들을 만나게 됩니다.
    '모든 것을 아는 바보' 가 되어서 비슷한 사람들을 만나게 된 거죠. 그들과 독서 술판 토론을 하면서 나름의 재미있는 생활을 합니다.그리고 김형의 추천으로 문학회에서 나름의 인정을 받게 되죠.


    [ 시처럼 힘들이지 않아도 나는 곧잘 합평회의 갈채를 받았고, 때로는 동인지나 교지에까지 실려 처음으로 활자화된 내 글을 보는 감격도 맛보았다. 그때껏 과정으로서의 삶만 살아온 내게는 처음 경험하는 존재의 외부적 승인이었으며, 초라하나마 성취의 희열이었다. (p. 86) ]


    이런 행복도 꼬아보는 시선과 뒤틀린 성격으로 스스로 내치게 됩니다.
    결국 남들에게 인정받는 삶을 살고자 하면서 그것뿐이면 너무 없어 보일 것만 같은 알기 힘든 고고함이 충돌하는 셈이지 싶습니다. 알기 힘든 그 고고함을 채워주는 것이 '앵벌이 소년과의 만남'정도가 될까요?
    그리고 그 연장선으로 여행을 떠나는 것으로 생각되네요.

    3. 그해 겨울

    강원도로 무작정 떠나서 '광부'가 되길 했으나 무너지는 갱도를 보고는 그만 두고, 작은 고깃배의 선원이 되고자 했으나 거절당합니다. 허락받았어도 무서웠을 겁니다. 그렇게 흘러 흘러 작은 요정이자 여관인 곳에서 허드렛일을 해봅니다.
     
    고교시절부터 막연히 찾고자 했던 것.
    마음 속 비어있는 그 무언가를 그렇게 찾고자 하지만 쉽지 않습니다. 그리고 저로서는 이해할 수 없는 말을 하면서 타협하는 걸로 보입니다.


    [ 절망이야말로 가장 순수하고 치열한 정열이었으며 구원이었다. (p. 213) ]



    책의 마지막장이 찢겨있어 결말을 보지는 못했습니다.
    그러나 그 마지막 한 장이 아무리 극적이라도 <그해 겨울>의 첫 부분을 보면 주인공 영우는 그냥 그렇게 타협하고 여전히 마음속은 비어있을 거라는 제 생각이 맞을 듯 합니다. 정확히 말하면 그 빈 부분을 복잡한 일상과 감정, 추억들로 메우고 덮으며 살아가겠죠.

    첫 부분이 이렇거든요.


    [ 이제 그 겨울을 이야기할 수 있을 것 같다.
    나는 이미 한 가정을 거느렸고, 매일 매일 점잖은 복장과 성실한 표정으로 나가야 할 직장도 있다. 또 나이는 어느새 서른을 훌쩍 넘어 감정은 많은 여과를 거쳐야 하며, 과장과 곡필로 이루어진 미문(美文)의 부끄러움도 알게 되었다. (p. 170) ]


    열정, 이상, 꿈, 희망을 굳이 얘기하지 않아도 그냥 그렇게 사는 삶을 하찮게 여길 수 없습니다. 외려 존경하는 쪽입니다. 특히나 가정을 이루고 아이들을 키우는 삶은 더욱더 존경하지요. 그리고 정답을 찾지 못해도 젊은 날의 치열한 방황과 고민도 역시 중요하다 생각합니다.
    그런데 이런 결말에 저까지 허무한 이유는 뭘까요.
    아직 그의 고교시절만큼이나 이룬 것이 없는 것도 이유겠지요.
    다른 사람의 눈병을 옮아 그 사람의 눈병이 낫는다는 속설처럼. 영우를 정상인으로 낫게 하고자 그의 허무를 떠안은 것만 같아 씁쓸합니다.

    '문학, 소설,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생 - 위화  (2) 2010.07.15
    공무도하 - 김훈  (0) 2009.10.30
    사람의 아들 - 이문열  (4) 2009.10.13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 - 이문열  (0) 2009.10.09
    슬럼독 밀리어네어(Q&A) - 비카스 스와루프  (2) 2009.10.05
Designed by Tistory.